미스터 선샤인, 기억해야 하는 의병들의 이야기 - 달빛 축제 이야기
영화 / / 2022. 12. 5. 18:39

미스터 선샤인, 기억해야 하는 의병들의 이야기

반응형

1. 기획의도

옛날에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싸운 무명의 의병들이 있었다. 그들은 나라를 지키겠다는 마음으로 뭉쳐서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싸웠다.  의병들이 아름다운 희생은 역사에 기록이 안 되어있다. 그들이 원하는 건 돈도 이름도 명예도 아니었다. 조선의 주권이었다. 미스터 선샤인은 의병들의 희생을 기억하기 위해 제작된 드라마이다.  사명을 위해 아프지만 걸어 나가는 이름 없는 영웅들의 유쾌하고 통쾌하지만 무겁기도 한 투쟁의 과정을 다뤘다. 그 시대 속의 낭만과 사랑도 드라마의 관전 요소이다. 

 

2. 평가

전체적으로 평가가 매우 좋다. 이 드라마가 나온 이후로 사람들이 역사에 대한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유치한 장면이 없었고 의병이라는 소재가 매우 잘 활용되었다. 밀가루 위에 반지를 놓는 장면들 덕분에 영상의 연출에 대한 평가가 매우 높다. 감동과 여운을 줄 수 있는 드라마이다.  눈을 즐겁게 해 주었고 촬영 비용이 비쌌을 것으로 예상된다.  배우들의 연기에 대한 평가도 매우 좋다.  주연과 조연 모두 주목을 받았는데 대표적으로 이정현이다.  외국인 역할을 맡은 배우들도 어색하지 않았고 자연스러웠다.  

 

3. 주요 등장인물

유진 초이 (이병헌)

어머니와 아버지가 노비이기 때문에 태어날 때부터 노비였다.  나중에는 조선에서 벗어나기 위해 어딘가로 도망간다.

그러다가 미군의 배를 마주치게 되고 계속해서 싸웠다.  살아남기 위해 이길 때까지 싸웠다. 조선으로 돌아가도 방법이 없기 때문에 포기하지 않았다. 그리고 특별해진다.  돌아보지 않고 계속 앞으로 나아갔다.  나중에 조선으로 돌아가도 조선을 도와주지 않으려고 다짐한다. 하지만 조선을 구하려는 한 여자를 만나게 된다.

 

고애신 (김태리)

그녀는 결혼할 시기를 놓친 29살이다. 그런 그녀는 열정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모든 남자들이 재미가 없었고 9년 동안 전투에 대해서 배운다. 어느 날 애신은 유진을 만나고 심장이 두근거리기 시작한다. 잘 웃지 않는다. 차갑고 도도하며 자존심이 강한 성격이다. 다른 인물들을 하대하고 존대를 하지 않는다. 그래도 소녀 같은 모습을 잠깐 보여주기도 한다.

 

 

 

4. 해외반응

1) 한국 드라마를 보기 시작했습니다. 너무 재밌어서 볼 수 있었습니다. 아쉬운 것은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한국 역사에 대해 무지하다는 것입니다.

2) 이 시리즈는 완벽합니다. 자막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온 가족이 지켜봐야 할 작품으로 모든 게 완벽합니다. 

배우와 배경 그리고 가슴 아픈 내용까지 훌륭합니다.

3) 나는 이 드라마를 보고 많이 울었다. 가끔은 웃기도 했습니다. 아름답고 용기 있는 드라마입니다.

4) 나는 최근에 일본이 중극을 두려워하고 한국에 대해 불안해하는 것을 느끼고 있습니다. 한국이 작은 나라이지만 지금까지 살아남은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5) 곤경에 처한 한국인들에게 무관심한 미국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6) 뛰어난 연출과 사운드가 완벽하게 어울립니다. 그것들이 나를 눈물 흘리게 합니다. 한국 드라마를 보지 않았던 사람들에게 추천합니다. 

7) 일본의 등장인물들이 매우 사악하게 나오지만 한국의 입장에서는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한국이 일본에게 가진 적대감은 이 이야기의 핵심입니다. 이병헌은 그것을 완벽하게 연기합니다.

8) 전혀 기대하지 않았지만 내 인생 최고의 드라마입니다. 평범한 드라마가 아닙니다. 한국의 독립을 향한 마음과 그 당시 사람들의 투쟁의 이야기입니다. 한국의 과거를 알 수 있었습니다. 이것을 모르는 것은 죄이고 안 보는 것은 더 큰 죄입니다.

9) 나는 이 드라마의 음악을 일상에서 듣고 있습니다. 이 드라마가 아직도 생생하게 느껴지는 이유입니다.

10) 이 드라마는 일본의 폭력을 자세히 묘사하였고 그것은 나를 엉망으로 만들었다. 후기를 작성하는 지금도 눈물이 날 거 같다.

11) 모든 순간을 느끼고 웃고 울고 걱정하고 보는 것을 멈출 수 없습니다. 이것들이 실제 역사에서 기반되었다는 것이 매력적입니다. 다른 나라의 역사도 궁금해집니다. 이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얼마나 운이 좋은 것인지 깨닫게 해 줍니다.

12) 칭찬하고 싶은 점은 사실적인 의상과 배경입니다. 

13)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우리에게 준 희생한 모든 사람들에게 감사합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